‘폭염에 탈진’ 참았다가는 응급실행…온열질환 막으려면
올해 폭염일수 증가 예상
온열질환 예방 및 관리 주의

연일 무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국에서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가 쏟아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기후 변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로 폭염일수가 예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온열질환 예방과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온열질환은 과도한 열 노출로 발생하는 급설 질환군으로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이 대표적이다. 가장 치명적인 온열질환은 열사병으로 체온 조절 중추인 시상하부 기능이 붕괴해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질환이다. 40도 이상의 체온과 의식 저하가 특징으로 빈맥, 저혈압, 심한 두통, 오한, 의식저하 등의 나타나며 심한 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 및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열사병이 의심될 때는 즉각적인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의심 환자는 신속히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한다. 이송 전까지는 시원한 장소에서 옷을 느슨하게 해 체열이 잘 발산되도록 해야 한다. 또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환자의 전신을 닦아 체온을 낮추고 목, 겨드랑이 등과 같이 주요 혈관이 지나는 부위에 얼음을 대서 중심 체온을 빠르게 떨어뜨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환자가 의식이 명확하고 협조가 가능할 때는 수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물이나 전해질이 포함된 음료를 섭취하도록 한다. 하지만 의식이 불분명하거나 구토를 할 때는 수분 섭취를 시도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안전하다.
열탈진은 심한 땀 분비로 탈수 및 전해질 소실로 인해 발생해 피로감, 현기증, 오심, 저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열경련은 체내 염분 소실로 팔, 다리, 복부 등에서 근육 경련이 나타난다. 이 경우 즉시 활동을 중단하고 서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고 전해질이 포함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된다.
평소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야외활동 전 일기예보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폭염특보가 발효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야회 활동 시에는 수분을 자주 섭취하고 통풍이 잘 되는 편안한 복장을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폭염 기간 동안 건설 현장, 농작업, 택배 배달 등의 실외 근무자는 온열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커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가장 무더운 12시부터 17시까지는 야외 작업을 피하고, 부득이할 경우 20~30분 간격으로 휴식 및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전문가에 따르면 폭염은 단순한 불쾌감을 넘어 건강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비가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